송도자원환경센터(송도소각장).
[사진=연수구청] [앵커] 인천시가 최근 이재명 정부에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내년 1월1일부터 시행하는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치를 유예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을 전달했는데요.
수도권매립지 종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적극적인.
감정적인 대응으로 나가는 듯해 너무 안타깝다.
소각장건설 문제는 국내 어느 곳이나 기피 시설로 난제가 아닐 수 없다.
<인천시 제공>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서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인천시가소각장확충과 생활폐기물 감량 정책을 병행하는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17일 시에 따르면 민간시설과 협력해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17일 시에 따르면 내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2020.
사진=중부일보DB 인천시가 2026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대비로 내놓은 자원순환센터(소각장) 확충 사업이 진척이 없다.
17일 시에 따르면, 내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2020년부터 추진해온소각장확충.
모정환 전남도의원이 10일 제39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주소각장설립 부지가 함평군 월야면과 불과 70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함평 군민 의견이 반드시 반영되도록 전남도가 광주시와 적극적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구청장을 향해 "정보 전달자 역할에만 충실하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유감을 표명했다.
아울러 박 청장이소각장반입 지연을 주도했다는 일방적 주장에 대해서도 "이는 주민지원협의체가 자발적으로 진행한 합법적인 시위며, 오 시장의 주장.